아는게 많지 않아 좀 어렵지만
우리 아기를 위해서 조금이나마 궁금했던 것들을
논문으로 더 정확하고 전문적인 정보로 알아보고
육아에 조금이라도 도움을 얻는
나의 '엄마 공부'하는 시간!
모두가 꼭꼭 읽어보았으면 하는 논문.
논점보다는 설명에 대한 부분이 많은 논문으로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4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이 글을 읽고 내가 자라진 환경을 객관적으로 보고
내가 아는 내 자신의 성향에서 나올 수 있는 나의 양육태도를 예상해볼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양육태도가 가지고 올 수 있는 결과물을 이 글에서 알 수 있었다.
나도 애정적-자율적인 엄마이고 싶다.
고치고 싶다.
본문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개인적 특성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사송교석 - 대한산업경영학회지, 2014회적 부적응에 영향
초록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correlations between parent's raising attitude and children' personal character. The way their parents raised them is divided 4 ways devotion, hostility, autonomy and regulations. Children' personal characters are composed of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In order to do this study first, I Set up a hypothesis. Second, I surveyed the result from the questionnaire to verify it on the basis of the data on the 442 elementary student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who live in the Ansan-City. Third, I used the SPSS program. Based on the reslt of the research, the hypothesis is proved as follows: The result from strong devotion and autonomy show high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but those from strong hostility and regulation show low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성장기 동안 부모들이 어떠한 양육태도를 보였는가의 여부가 인간의 인격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삶의 관계에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영유아시절 부모-자녀관계 사이에 마음과 마음의 교류 속에서 자아의 일정한 형태가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자아의 일정한 형태는 자신, 타인, 환경등과의 관계에서 일정한 방향성을 보이는 행동의 패턴방식이 된다.
그러므로 부모양육태도는 자녀의 인격형성 및 내면세계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그 자녀의 자아형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태도는 자녀의 자아형성에 직 간접적으로 관계가 있으며, 자녀는 부모에 대한 긍 부정의 애착 유형에 따라 타인과의 관계에 긍 부정적의 영향을 미친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자녀의 자아 형성과 관계가 있으며 특히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등과 높은 관계가 있다. (Armsdeda & Greenberg, 1987; 박은미, 1999).
Coopersmith(1981)는 자아존중감은 가족적 환경과 깊은 관계가 있고, 부모가 자녀에 대해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태도를 일관적으로 보일때, 자녀는 수용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견지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민주적인 양육, 자녀와의 기능적 대화1), 자녀의 행동에 대한 분명한 한계 설정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높여준다고 보았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인간의 심리적 정서적 요인과 성격발달 및 성격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위에 제시된 문헌에 근거하여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개인특성에 어떤 상관성을 갖고 있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부모양육태도가 아동의 개인적 특성인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문헌연구 및 실증연구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1.3.3. 부모양육태도의 유형
Schaefer(1965:413-424)는 부모양육태도의 애정 유무와 자율성 여부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부모가 자녀에 대해 애정을 보여 수용하는가 아니면 자녀를 거부하고 적대적 으로 대하는 가를 한축으로 고려하고, 자녀를 자유롭고 자율적으로 행동하도록 하는가 아니면 엄격히 통제하는가를 또 한 축으로 하여 다음 <그림 1-1>과 같이 분류하였다.
애정형은 부모가 자녀를 따뜻하고 다정하게 대하는 태도인데 반해 적대형은 부모가 자녀를 무시하고 함부로 대하는 양육태도이다. 또 자율형은 자녀의 인격을 존중하면서 자녀의 판단을 믿고 지원하는 태도인데 반해 통제형은 자녀를 믿지 못하고 그의 행동을 적극적으로 부모의 뜻대로 좌우하는 양육태도이다. 대체로 애정형과 적대형이 동일 차원에 있다고 볼 수 있고, 자율형과 통제형도 동일 선상에 있다. 이 두 차원의 태도 유형을 다시 중복시켜 다음과 같이 네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① 애정적-자율적 태도(affectional-autono micattitude)
이는 자녀를 애정으로 대하면서 자율성을 부여하는 양육태도이다. 이 유형의 부모들은 대체로 민주적이고, 수용적이며, 협동적이다. 자녀의 의사를 존중하고, 부모의 강제적인 의사결정을 피하며, 자녀를 존엄성 있는 인간으로 대한다. 통제나 복종을 요구하지 않고, 부정적인 감정도 자유롭게 표현하게 함으로써 정서적인 안정을 돕는다. 이러한 부모의 자녀들은 능동적이고 적응적이며 독립적이다. 또한 목표 지향적이며 창의적이고, 사교적이며 긍정적인 경향을 갖는다.
② 애정적-통제적 태도(affectional-controlingattitude )
이는 부모가 자녀를 애정적으로 대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자녀의 행동에 많은 제약을 가하는 태도다. 부모들은 자녀에 대해 대체로 과보호 적이거나 소유적인 태도를 보인다. 이것이 지나치면 부모들이 자녀를 소유물로 생각하여자녀의 행동범주를 부모가 결정하고 자녀가 독립적인 행동을 할 때 좌절감을 느끼기도 한다.‘부모의 확대된 자아’(확대된 자아란 부모가 어렸을 때 이루지 못하였던 것, 즉 하고 싶었던 것을 자녀에게서 대리만족의 욕구를 채우려고 하는 부모의 마음)로 인하여 자녀의 욕구보다는, 부모의 욕구를 자녀에게 강요하기 때문에 자녀는 자신의 욕구를 포기하고 부모의 욕구에 민감해진다. 이러한 부모의 자녀는 부모의 욕구에 따라 행동하려는 성향이 있어, 독립적이거나 주도적인 태도가 약하다. 미지의 세계에 대한 새로운 탐색 의욕이 저하되어, 반응 습득의 기회가 축소되고 문제 해결력이 약할 수가 있다. 이러한 부모 밑에서 자란 자녀들은 규율에 순종적이고, 도전적이지 않으며, 학교일에 열성적이나 사교성과 창의성이 부족하고 의존적이다.
③ 적대적-자율적 태도(rejecting-autonomicattitude)
이는 자녀에 대해 비수용적이고 거부적이며 자녀의 행동에 대해 방임적인 양육태도다. 이러한 부모의 아동들은 공격적이고 타인에 대해 적개심이 강하며 충동적인 경향이 있다. 또한 부모에게 적대적일 수 있고, 내면화된 갈등과 고통을 지니며 자신에 대한 분노를 갖게 되어 자학적이고 퇴행적인 특성을 보인다. 적대적-자율적 태도는 자녀를 애정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거부하는 동시에 자녀를 마음대로 행동하게끔 내버려두는 방임적인 태도이다. 이러한 양육태도하에서 성장한 자녀는 일반적으로 공격적이며 자신의 행동 조절 능력이 미약하여 거절 자아가 형성된다. 인간관계 속에서도 상대를 신뢰하지 못하고 폐쇄적이다. 자신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자신의 소중함을 알지 못한다.
④ 적대적-통제적 태도(rejecting-controlingattitude)
이 유형의 부모는 자녀들에게 신체적·심리적으로 체벌을 가하고, 권위적·독재적이며 거부적인 태도를 보인다. 또한 이 유형의 부모는 정서적으로 미성숙하고 불안정하여 비일관적인 양육태도를 보인다. 잘못된 절대적인 기준을 세워놓고 자녀들의 행동과 태도를 평가하려고 한다. 부모의 뜻에 복종하지 않을 경우 무지막지한 체벌을 가한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성장한 자녀는 정신 질환을 가진 경우가 많고, 수줍어하거나 사회적으로 위축된 행동을 보이며, 정상적인 대인 관계가 어렵다. 자신에 대해서도 부정적이며 자기 존중감이 낮다. 자학성이 심하고, 극단적으로 자살 성향을 보이기도 한다. 성인이 되어서도 반사회적 행동과 감정 장애 등으로 사회적 적응이 힘들어진다.
4. 결론 및 논의
본 논문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개인적 특성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를 취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통계적방법을 사용하였다. 안산시에 아동 44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상관 관계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 하였다.
첫째,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가설1,2,,3,4)에 대한 검증결과는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는 각기 자아존중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에 있는 반면, 적대적 태도와 통제적 태도는 각기 자아존중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가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양육태도를 지닐 경우에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녀들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들이 자녀를 애정으로 보살피고 어느 정도 자율성을 부여해야함을 뜻한다. 인간은 자아존중감이 높을 때에 자신감이 있고 당당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실력을 키우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적대적 양육태도나 통제적 양육태도에 양육된 아동은 자아존중감이 낮아 자기 효능감이 감소되고, 자신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생기게 된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가설 5, 6, 7, 8)에 대한 검증결과는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는 각기 자기통제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에 있는 반면, 적대적 태도와 통제적 태도는 가기 자기통제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가 강할수록 자기 통제력이 높다. 이는 부모가 자녀를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태도로 양육하면 그 자녀의 자기 통제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 통제력이 높은 아동은 자기 자신을 자율적인 인간으로 보아 책임감이 있고, 자신의 행동을 잘 조절해 나간다. 이러한 아동은 목표가 정해지면 계획을 세웨, 열심히 노력하는 목표지향적인 사고를 가지고, 자신이 갖고 있는 실력과 능력을 충분히 발휘한다.
적대적 양육태도나 통제적 양육태도 하에서 양육된 아동은 자기 통제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통제력이 낮은 아동은 자율성이 낮아 모든 것을 자신의 책임과 노력의 결과로 생각하기 보다는 외부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한다. 그래서 능동성이 결여되고 목표지향적인 사고를 갖기가 어렵다. 또한 불평불만이 많고 실패한 경우 그 책임을 외부의 탓으로 돌리는 부정적인 사고를 갖기 쉽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이 감소되고 자신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많다. 자신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진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개인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모양육태도가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부모양육태도, 즉 자녀에게 친밀감과 믿음, 따뜻한 마음의 공유, 자율성과 존엄성 등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였고, 적대적이고, 통제적인 부모양육태도, 즉 자녀에게 무분별한 분노표현과 무시하는 태도, 적대적 감정 및 불신감과 권위적 태도 및 거부적인태도는 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시사해 주고 있다.
즉 부모양육태도에 의하여 그 아동의 성격, 자아존중감, 자신의 대한 통제의지, 자신의 대한 신뢰감, 환경에 대한 통제능력 등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또한 이러한 개인적 특성에 의하여 그 아동의 행동 양식이 결정된다는 점 등이 부모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삶에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들을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적극적인 참여하도록 정책적 제도가 마련되었으면 한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의 질적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개인적 특성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earticle
목차 Abstract I.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문제 1.3. 부모양육태도에 관한 이론 1.4. 개인적 특성에 관한 이론 1.5. 부모양육태도와 개인적 특성과의 관계
www.earticle.net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1417767630639.pdf
#자아존중감 #양육유형 #아동발달 #양육태도
'좌충우돌 림표 육아 ✿ > 공부하는 엄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개인적 특성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0) | 2022.08.25 |
---|---|
12 개월 영아의 기질, 영아에 대한 어머니 애착, 양육스트레스와 영아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 (0) | 2022.08.25 |
영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른 영아의 이해언어 및 표현언어 능력 (0) | 2022.08.25 |
9 개월부터 28 개월까지 영아의 공동주의의 변화가 아동 초기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분석 (0) | 2022.08.24 |
유아의 언어능력과 주의집중력,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0) | 2022.08.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