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좌충우돌 림표 육아 ✿/공부하는 엄마

소아마취후 회복실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들

by 유유 맘 2022. 5. 11.
반응형

 

아는게 많지 않아 어렵지만 

우리 아기를 위해서 조금이나마 궁금했던 것들을

논문으로 더 정확하고 전문적인 정보로 알아보고

육아에 조금이라도 도움을 얻는

나의 '엄마 공부'하는 시간!

 

 

 

소아마취후 회복실에서 나타날수 있는 문제점들

이기영, 최응환 - 녹십자의보, 1988

 

 

서론

회복실은 전유마취제가 화자에게서 없어질때까지 화자의 호흡과 순환상태를 감시하는 필수적인 곳이며, 질식이나 쇼크 등 합병증의 위험성이 없어질 때까지 환자를 자세히 관찰하고, 심폐소생술을 즉시 실행할 수 있는 장비와 인원이 필수적으로 갖춰져 있어야 하는 곳이다. 

특히 본 종설에서는 소아에 있어서 마취가 끝난후 회복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들에 관해서 흔히 발생하는 것들과 간혹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워 이에 따른 원인과 처치법에 대해서 종류별로 다루었다.

 

 

소아 마취후 회복실에서 흔히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들

1. 각성 섬망
수술 후 회복실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각성 섬망이다. 주로 3~9세 소아에서 나타나며 출현 빈도는 약 13퍼센트다. 특히 enflurane 마취 후에 빈도가 더 높다. 이뗴 나타나는 각성 섬망의 특징은 소아가 마취에서 깨어날 때에 혼란, 지각력 상실, 무의미한 운동과 다르기 아려옴 등이다. 또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고 명령이나 암시에 반응하지 않는 것 등이다.
각성 섬망을 잘 일으키는 마취억제에는 ketamine, barbiturate, halogenated 흡입마취제, cyclopropam등이다. 처치 방법으로는 각성 선망이 일어나는 동안에 상처받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강한 제제가 필요하며, 항콜린성 약물, 정맥 진통제 나 수술 전 처치 등이 발생 빈도를 감소시켜 줄 수 있다.
2. 동통 및 불안 (pain and anxiety)
소아는 각성 시 불안 공포 분노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조용한 아이들도 있고 고함을 치고 울기도 한다. 특히 포경수술, 정형외과적 수술, 편도 절제술, 요도하열 교정술 등에서 수술 후 통증이 더욱 심하다 첫째 법으로 6개월 이상에서는 morphine 0.05mg/kg 의 정맥주사가 만족할 만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부위 마치나 국소 마치를 전신 마취와 변경하면 수술 후 진통을 위해서 매우 효과적이며 구역과 구토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정상 치료를 도와주며 회복의 빨리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특히 방법은 외래환자에게 좋다.
3. 구역 및 구토 (nausea and vomiting)
수술 후부터는 흔한 합병증이다. 회복실 환자 중에서 구토의 발생은 12% 나 된다는 특히 중에 수술 사실 수술 장시간 수술 등에서 더 높은 발현 빈도를 보인다. 그러나 삼 세 이하 소원아 수술 시에는 구토의 빈도가 낮았다. 회복실에서는 진통제를 거의 두려 하지 않나 구토를 계속할 경우에는 주사할 수 있다. 구토를 계속하면 전해질과 체액의 소실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적당한 수액을 투여해야 한다. 주의할 것은 저장성 식염수를 투여한 환자에게 서는 hyponatremic SEI-zure 일으킬 수도 있다.
4. 기도 폐쇄 (airway obstruction)
기도 폐쇄에 원인은 후두 경련, 기도 부족, 신생아에서 올 수 있는 콧구멍 폐쇄 등이 있다. 기도 폐쇄를 좀 더 높은 빈도로 일으키는 수술들은 구개열 교정후두 재건술, 편도절제술, 아데노이드 제거술 등이다.
기도의 연한 조직 폐쇄 경우는 입을 벌리고 턱을 앞으로 미는 것으로 해결된다. 아데노이드 비대로 코가 막힌 소아에게는 기도유지가 필요하나 소아가 깨어있어서 근육운동이 정상일 때는 기도유지가 필요하지 않다. 후두경련은 소아에게서 더 흔히 나타나고 전신마취의 흥분기에 후두 자극에 의해 잘 야기된다. 후두경련의 예방법은 튜브를 발광하기 전에 소아가 눈과 입을 자발적으로 닫았다 열었다 할 수 있으며, 사지를 심하게 움직이고, 기침한 후에 정상호흡으로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 때 발광을 실시하는 것이다. 즉 소아가 완전히 깰 때까지 튜브를 발광하지 않는 것이 후두경련을 막을 수 있는 길이다.
후두경련의 드문 합병증 중에는 폐부종이 있다. 이 급성 폐부종은 어른에게서는 보고되지 않았고 14세 소아 1명, 10세 소아 1명, 3개월 영아 1명이 보고되었다. 이것의 원인은 기도 폐쇄를 극복하려는 노력으로 흉곽 내 압력이 극도로 높아져서 폐혈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는 것과 조직의 저산소증에 의해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라는 학설이 있다. 급성 폐부종의 치료는 튜브 발 관후 고동 도의 산소와 기도 내 지속성 양압 공급으로 조절호흡을 시키고 이뇨제를 주사한다. 2~3개월 이하의 영아는 코로 호흡을 하므로 만약 비강 내에 폐쇄가 일어난다면 삽입이 필요하다.
5. 정맥과 창상 처치의 파손
어린 소아는 정맥주사 바늘을 빼려고 하기 때문에 보호대를 대주어야 한다. 또한 보호 재킷을 입혀서 환자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주위의 장비들을 뜯어내지 못하게 예방하고 침대에서 떨어지지 못하게 한다.

 

 

https://kmbase.medric.or.kr/Fulltext/03544/1988-16-5/228-231.pdf


#수면마취 #아기수면마취 #아동수면마취 #아이수면마취 #아기마취 #아동마취 #아이마취 #아동마취수술 #아이마취수술 #아기마취수술 #아기마취안전성 #마취부작용 #아이마취부작용 #아기마취부작용 #수면마취위험성 #아동수면마취위험성 #마취안전성 #소아마취안전성

반응형

댓글